오리와 페어 6/8

@VERO
Created Date · 2023년 06월 08일 11:06
Last Updated Date · 2023년 10월 09일 08:10

우테코 미션

  • 2레벨, 3레벨, 4레벨

    • ec2를 그냥 제공해준다.
    • 클라우드 환경을 구축하는 일이 없다. ec2를 구축하는 일이 없다. vpc도 그냥 시키는 대로...
    • ec2를 사용하는 것은 쓴다고 하기 좀 애매하다.
    • vpc를 실제로 세팅하고, 내부 인스턴스들을 관리를 직접 해보는 것이 중요하다.
    • 네트워크를 학습하는데 도움이 된다. (vpc, subnet mask, bastin, ...)
    • 그러니 그냥 제공받는 거 쓰지 말고 vpc 세팅을 한 번 해보자!
  • 물론 데브옵스를 할 건 아니지만 vpc endpoint는 직접 구축해 보는 게 좋다.

  • 참고 링크 : https://tech.cloud.nongshim.co.kr/2023/03/16/%ec%86%8c%ea%b0%9c-vpc-endpoint%eb%9e%80/

matzip 환경

  • 환경은 총 3개가 될 것이다. (또는 운영+모니터링, 베타 2개)
    • 운영이 실제 띄워지는 환경
    • 베타가 띄워지는 환경
      • develop, staging 환경
      • 우테코에서 미션할 때는 로컬에서 개발하고 테스트 한 후에 운영에 배포한다. 그러나 운영이나 로컬이나 비슷한 환경을 맞춰도 100% 된다는 보장이 없다.
      • 최대한 운영에 비슷한 환경 -> 베타에 먼저 배포하고 QA를 실행하고 운영에 배포하는 경우가 많다.
    • 모니터링 환경: 그라파나 (모니터링 데이터를 UI로 가시화 하는 것) -> 운영으로 합쳐질 수도 있다.
      • CPU, Memory 수치를 보면서 ec2에 과부하가 오는지 아닌지를 파악하기 위함.
      • 요청수를 보면서 트래픽이 얼마나 들어오는지를 파악하기 위함.

해야 할 것

  • VPC 세팅 CIDER: 10.0.0.0/16 (관습적으로 이렇게 쓴다는데 이유도 알아보자 -> reserved ip 피해서?)
  • public subnet, private subnet을 구성해야 한다. subnet은 2개로 구성해야 한다. (public도 가용영역마다 2개씩 - 2a, 2c에 하나씩 이런 식으로)
    • 운영 환경에 대한 라우팅 테이블(rt) 을 구축한다(지정한다).
      • 하나의 vpc 환경이 있을 때 subnet mask를 운영 환경으로 잡고 여기에 대한 라우팅 테이블을 설정한다.
    • (후순위) 베타 환경에 대한 라우팅 테이블(rt) 을 구축한다(지정한다).
  • ec2, s3, rds의 주소는 모두 private으로 한다.
    • db를 private으로 막는 이유는 직접 접근을 못하게 하기 위함.
    • application도 직접 접근을 막아야 한다.
    • 외부의 요청을 받아야 한다. -> Internet Gateway (IGW)를 사용할 것
    • IGW(public) -> Routing table(public) -> ec2(private)
  • 운영과 베타의 vpc를 다르게 둘 것인가에 대한 고민
    • 베타는 막쓰는 서버이고, 운영은 중요한 정보가 있기 때문에 베타에서 운영을 접근할 수 있게 해서는 안 된다.
    • 같이 두면 편하다. -> 모니터링 환경이 있는데, peering을 해야 한다.
    • 모니터링 환경도 vpc를 다르게 둔다고 했을 때, 모니터링(vpc3)이 운영(vpc1)과 베타(vpc2)에 접근하려면 vpc peering을 해야 한다.
    • 귀찮을 수도 있으니, 이점을 고려하여 다르게 둘지 같게 둘지를 판단해서 작업하자.
    • 물론 우테코는 하나의 vpc 안에서 작업한다.
  • subnet의 고민? subnet을 분리할 지에 대한 고민?

=> 일단은 운영 vpc만 세팅을 하고 -> 다 하고 시간이 남으면 베타를 vpc 세팅을 똑같이 해보자. (해본 사람과 안 해본 사람이랑 페어하면서 서로 도우면서~)

리전

나라에 세워져 있는 AWS 큰 그림? 서울 리전을 사용할 것.

가용 영역

리전 안에 여러 개가 존재한다. 서울은 4개 데이터 센터라고 보면 된다. 실제로 데이터가 저장되는 곳은 실물로 있어야 한다. 기본 서브넷에 가용 영역이 주어져 있다.

aws 데이터 센터가 아마 a-b, c-d가 같은 데이터 센터에 있을 거라서 a, c 이런 식으로 만드는 게 국룰이라고 한다. (추가로 알아보자)

vpc 워크플로

  • 오리가 줌에서 보여주신 사진

vpc-workflow.png

요약

  • vpc 세팅
    • 가용 영역은 2개를 사용한다. (a, c)
    • a, c가 서로 다른 데이터 센터에 위치할 듯 (검색해보기)
  • subnet 세팅 (가용 영역 - a: public1 + private1 + private 2 / 가용 영역 - b: public1 + private1 + private 2)
    • private 서브넷 개수?
  • rt 세팅
  • IGW 세팅
  • NAT 세팅 (일단 NAT가 뭔지부터 알아보자)
    • aws 에서 제공해주는 것 말고 NAT 인스턴스를 하나를 만드는 것 고려. vpc에서 인스턴스 하나 만들어서 해보기.
    • 너무 빡세면 ㅌㅌ
    • private을 다 막을 건데 private 인스턴스들이 java를 다운 받아야 하는데 막혀있어서 다운을 못한다. 그래서 NAT가 필요하다.
  • ec2 세팅 (안 해도 된다)

++ '초보자를 위한 AWS 웹구축' 참고해 보기~

다음 공유 시간: 13일까지. 운영 vpc 세팅 완료 목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