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07월 11일

@VERO
Created Date · 2023년 07월 11일 01:07
Last Updated Date · 2023년 07월 11일 01:07

LOG

  • 비가 많이 왔다. 비 좀 그만 왔으면 좋겠다. 오늘은 다행히 덥지는 않았는데 약간 추웠다. 반바지 입고 와서 그랬던 걸지도...
  • 애쉬, 비버, 포이와 매드 후라이 치킨에서 저녁을 먹었다. 선릉은 맛있는 곳만 있나 ㅋㅋ 어제 갔던 곳도 맛있었는데 오늘도 맛있어서 좋았다.
  • 점심은 라면을 먹었다. 라면에 계란을 넣으려고 계란을 부쉈(?)는데 너무 박살나서 계란이 용기에 흘러 내렸다.. 용기가 타지 않게 하려고 busy waiting 하면서 라면을 제조할 수 밖에 없었다. 조금 아쉽. 계란은 완전히 분해돼서 먹을 수 없었다 ㅋㅋ
  • 스플릿, 아코, 바론과 함께 도메인 설계를 했다. 각자 구상해온 도메인 클래스를 취합하고, DB 스키마도 만들었다. 오랜만에 코드 관련 이야기 하니까 너무 재밌었다.

배운 것

  • 맥북에서 날씨 앱을 왼쪽에 열어두고 오른쪽에 다른 창을 열고 포커스를 다른 창에 맞추면 날씨 앱에 비 오던게 천천히 멈춘다 ㄷㄷ
  • 일정 추정하기
    • 팀 요구사항이 있고, 기한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를 충족해야 한다.
    • 그러나 정확한 프로젝트 일정 추정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포기하기보다는 숙달하는 것이 중요하다.
    • 프로젝트를 더 작은 작업으로 분해하라. 긴 추정치에는 예상 밖의 문제가 숨어든다. 작업을 더 잘게 나눌수록 예상치 못한 하위 작업이 나타날 가능성이 줄어든다.
    • 추정은 최상의 시나리오가 아닌 확률 분포로 생각하자. 우리가 의존하는 정보는 불완전하므로 최상의 시나리오부터 최악의 시나리오를 아우르는 결과 범위에 대한 확률 분포라고 생각해야 한다.
    • 구체적인 목표와 측정 가능한 마일스톤을 정의하자. 목표를 잘 정의해두면 작업 목록에서 꼭 해야 할 일과 하면 좋은 일을 구분하는 중요한 필터가 된다. 목표를 구체적으로 정의하면 명확성과 공통의 이해가 형성된다. 측정 가능한 마일스톤은 목표를 향해 제대로 가고 있는지 주기적으로 확인하는데 도움이 된다.
    • 작은 작업 단위와 적당한 마일스톤 기간. 처음부터 잘 할 수 없기 때문에 작은 작업 단위와 적당한 마일스톤 기간은 빠르게 실패를 할 수 있게 도와준다. 앞 마일스톤에서 경험한 것을 바탕으로 다음 마일스톤 일정을 계획한다.
  • commit 에 #이슈-번호 를 붙이면 이슈에 commit 이 쌓인다 ㄷㄷ by 아코
  • @Embbedded, @Embeddable
    • @Embeddable 사용할 거면 안에 사용할 값에 @Column 을 달아줘야 한다.
  • @ManyToOnefetch 의 기본 타입은 FetchType.EAGER 다.
  • @OneToManyfetch 의 기본 타입은 FetchType.LAZY 이다.

궁금한 것

느낀 것

  • 독성 말투를 주의하자. 습관적으로 부정적인 말을 하는 것을 경계한다. 언제나 기분이 좋을 필요는 없지만 언제나 기분이 안 좋을 이유도 없다.
  • 노력하는 것에 익숙해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