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04월 18일

@VERO
Created Date · 2023년 04월 18일 14:04
Last Updated Date · 2023년 04월 18일 14:04

LOG

  • 2단계 미션 PR을 보냈다. PR 보낼 때 질문을 많이 생각해보려다가 브라운이 리뷰어들이 질문에 대답하는 게 오래 걸린다고 해서 그냥 생각난 것 하나만 적었다. Bean을 만드는 기준에 대해서 질문했는데 아마도 답이 없는 질문이라 just 리뷰어의 생각이 궁금하다.
  • 결국 병원에 갔다. 갑자기 깃짱이랑 얘기하다가 목이 간지럽더니 기침을 안 쉬고 20번 정도 했다. 기침을 많이 하면 생리적으로 눈물이 난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다들. 왠지 모르게 울고 있는 사람 돼서 토리가 많이 걱정했다. 병원에 갔는데 신속항원검사부터 하라고 해서 혹시나 코로나인가 해서 걱정했다. 다행히 음성이 나와서 나한테 옮은 주드는 그냥 감기인 걸로... ^^ 약을 3일간 먹어야 하는데 금주령이 내려졌다. 금요일에 술을 마셔야겠다.
  • 오늘 강의 실습 시간에 네오, 포이, 주노와 함께 필드 주입과 프록시 객체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 역시 책을 읽거나 검색으로 지식을 늘리는 것보다 사람들과 이야기 하면서 지식을 얻는 게 즐거운 거 같다.
  • 포이 테코톡 리허설을 들었다. 제대로 공부하고 많이 알고 있다보니 발표를 잘하는게 느껴졌다. 스크립트 없이 발표하는 게 신기했다.

배운 것

  • 필드 주입이 안 좋은 이유? (Easy to add too many dependencies 가 생기는 이유가 무엇일까?) : 필드가 늘어나면 객체 생성 책임이 늘어나는지 모른다. 그런데 생성자에서는 알 수 있다. 필드 주입을 하게 된다면 의존성이 런타임에서 변경될 수 있다. (트레이드 오프 있음) -> final을 못 쓰는 것과 동일한 이유이다.
  • 생성자 주입이 왜 테스트에 좋은가?: 이미 우리가 의존성 주입을 잘 구현해놔서 지금은 크게 와닿지 않을 수 있다.
  • 필드 주입과 생성자 주입을 동시에 하면 뭐가 우선일까?: 생성자 주입이 먼저 실행되고 필드 주입으로 덮어씌워진다.
  • Repository 의존성 주입을 할 때 프록시 객체가 만들어지는가?: 만들어진다. DB Vendor마다 다른 예외 변환을 위해서이다.
  • @Controller는 프록시 객체가 만들어질까?: 안 만들어진다. (뇌피셜) 스프링 내부에서 통제할 수 있기 때문에 그런 거 아닐까.
  • @Service는 사실상 @Component와 다를 게 없다. 명시적으로 DDD 관점에서 서비스인 걸 알려주기 위해 추가된 기능이다.
  • 스프링 빈을 모두 등록하는 게 좋을까?: 스프링 빈을 모두 등록할 때 성능상 차이는 크게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스프링을 모두 걷어냈을 때 제대로 작동하는 프로그램으로 수정하기 어려워진다. (라이프 사이클이 스프링에 종속되기 때문에) 그렇기 때문에 의존성을 최대한 줄이는 방향으로 설계해야 한다.

궁금한 것

  • OptionalorElseGet은 왜 supplier null check를 하지 않는걸까 by 포이

어려웠던 것

느낀 것

  • 진지하게 몸을 가만히 못 있겠다. 뭐라도 흔들어야 할 것 같은.. 그런 기분이 든다 ㅋㅋㅋㅋㅋ 아니 진짜 진지하다... 에너지가 넘친다기보다는 그냥 뭔가 ... 뭐라도 해야 할 것 같은 느낌이 들어서 가만히 못 있겠다. 실제로 아무것도 못할 수가 없다. 집중력이 낮아지는 거 같다.
  • 왜 느낀 것이 점점 줄어들까 생각해봤다. 역시 요즘 생각 없이 살고 있는 거 같다. 좋게 말하면 긍정적이고 재밌게 살고, 안 좋게 말하면 아무 생각 없이 막 살고 있다. 그런데 굳이 나쁘게 생각할 필요 있나? 좋은 점을 보자 ㅋㅋ